카테고리 없음

가장 완벽한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

기말시험 2021. 7. 20. 12:52

<플란다스의 개>, 2000


2020년 2월 이제 막 팬데믹의 공포가 시작될 그 무렵, 제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92년 오스카 역사상 전대미문의 사건이 발생합니다. 그건 바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감독상, 작품상, 각본상, 국제영화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룬 사건(!)입니다. 게다가 봉감독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칸느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니 프랑스 칸느와 미국의 아카데미 작품상을 동시에 수상한 작품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문 일로서 1955년 <마티> 이후 단 두 번밖에 없었던 일이라고 하니 <기생충>의 위엄이 얼마나 대단한지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위대한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은 어떠했을까요? 오늘은 봉준호 감독의 첫 번째 장편 영화인 <플란다스의 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현남과 윤주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이 영화가 <버디 수사 영화>라는 것입니다. “버디 영화”란 다들 아시다시피 두 명이 하나의 팀을 이뤄 어떤 사건을 수사하는 작품을 말합니다. 데이빗 핀처 감독의 <세븐>이 아마 가장 유명한 버디 형사물이 아닐까 생각하는데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는 이러한 할리우드 “버디 형사물” 장르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영화 포스터를 보면 이성재씨와 배두나 배우의 얼굴이 보이는데 이 영화가 극장에 선보인 년도가 2000년도이니 당시 관객들은 척박한 한국 영화 환경에서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몰랐을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연히 두 사람 사이의 로맨스를 기대했던 관객들에게는 일종의 배신감을 선사했을 텐데 제가 기억하기로는 동네 비디오 숍에서는 이 영화를 알기 쉽게 “매우 웃긴 코미디” 영화로 선전했던 기억이 납니다. 

<플란다스의 개>, 2000


아마 비디오 광고업자들도 이 작품에 대해 어떻게 반응을 해야할지 몰랐을 거라 생각이 되는데요, 사실 이 작품의 정확한 장르는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블랙코미디 장르입니다. 이 작품이 나오고 이십 년이 지난 지금에야 봉감독님에 대해 많이 알려졌지만 그 당시 이 작품은 전국 관객 십만이 안 되는 소위 말해 “묻힌” 작품이었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블랙코미디” 장르 자체가 활발하게 대중에게 어필하지 못하는 장르입니다. 얼핏 떠오르는 히트한 블랙코미디 장르 영화를 떠올려보자면 <그때 그 사람들>, <지구를 지켜라> 정도이고, 사실 한국에서 완전한 블랙코미디 장르를 표방하면서 흥행에도 성공한 영화들은 정말이지 손에 꼽을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올드 보이>나 임상수 감독의 <하녀>에 소위 블랙 코미디적 요소가 가미된 부분이 있지만.....)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는 일단 제목부터 재미가 있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전 봉준호 감독의 94년 아카데미 학생 작품 <지리멸렬>이라는 작품부터 이해를 하셔야 보다 쉽게 제목에 대한 이해가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지리멸렬> 속 대학 교수


'바퀴벌레', ' 골목 밖으로', '고통의 밤' 등 세편의 매우 짧은 이야기를 느슨하게 이어붙인 봉준호 감독의 단편 <지리멸렬>은 기본적으로 사회 지식인들의 얄팍한 허위와 위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소위 사회에서 인정받는 엘리트 지도층 인사들이지만 그들은 - 강의 전에 음란 잡지를 보거나 (교수), 신문 배달원의 우유를 몰래 훔쳐 먹거나 (신문사 논설위원), 아무데나 노상방뇨를 일삼는 등 (검사), 평소 존경받는 지도층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얄팍한 이중성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입니다. 

<지리멸렬>, 1994


다시 <플란다스의 개>로 돌아오자면,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는 <지리멸렬>의 연장선에 있는 영화입니다. 단편 <지리멸렬>이 지식인들의 허위와 위선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라면 <플란다스의 개> 역시 지식인, 여기서는 이성재가 연기한 윤주라는 대학 강사의 위선과 더불어 지식인들의 부패를 그리고 있는 작품입니다. 아마 여러분 모두 어릴 적에 만화영화 <플란다스의 개>를 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플란다스의 개>, 쿠로다 요시오

 

플란다스 지방 안트워프 시내에서 우유를 배달하며 살아가는 소년 네로와 강아지 파트라슈의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서 아마 정확한 스토리를 기억하지는 못하더라도 한번쯤 만화의 클립쯤은 보셨을 것입니다. 이런 <플란다스의 개> 만화 영화의 마지막 에피소드로 기억하는데요, 화가가 되는 것이 꿈이었던 네로의 마지막 소원은 바로 루벤스의 작품을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앤트워프 대성당에서 루벤스의  명화를 보기 위해서는 관람료로 금화 한 닢이 필요했는데 가난한 네로에게는 안타깝게도 그만한 돈이 있을리 없었죠. 설상가상으로 어느 추운 겨울날 마을의 방화범으로 몰려 도망치듯 성당 근처까지 맴돌던 네로는 우연히 문이 열린 틈을 타 안트워프 성당 안으로 들어가 드디어 꿈에 그리던 루벤스의 그림을 보게 됩니다.

안트워프 성당, 루벤스의 그림


이때 네로가 보게 되는 작품이 바로 그 유명한 루벤스의 <성모승천>, <십자가에서의 내려짐>, 이렇게 두 작품인데요, 루벤스의 작품을 결국 보게 된 소년 네로는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결국 장엄하게 두 눈을 감습니다. (네, 어린이 만화 주인공이 에피소드 마지막에 죽습니다. 당시 네로를 살려달라고 전국의 어린이들이 방송국으로 수 천 통의 엽서를 보내왔다는 “썰”이 있지만....). 

<성모승천>, 루벤스 (1626)

 

루벤스, <십자가에서 내려짐>


기본적으로 17세기 벨기에의 화가 페테르 파울 루벤스는 역동적이면서도 강한 색감, 그리고 관능미를 추구하는 환상적인 작품들을 주로 그렸습니다. 그 중에서도 예수 그리스도의 강림과 성모 마리아의 승천을 묘사한 <십자가에서의 내려짐>과 <성모승천>은 어떤 “숭고함”을 상징하는 그림들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숭고한” 작품들 앞에서 “숭고하게” 죽어가는 네로는 한 마디로 “숭고함”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봉준호 감독의 영화 속 등장인물들은 그런 “숭고함”들과는 가장 거리가 먼 “졸렬한” 인물들 뿐입니다.

대학 강사, 윤주


이성재가 연기한 주인공 윤주는 대학 강사이지만 전임 교수가 되기 위해 케이크 상자에 현금 천 오백만원을 깔고 학장을 만나 결국 교수가 되고, 아파트 수위는 모른 척 시치미를 떼고 다니면서 동네 길 잃은 개들을 잡아먹는 파렴치한입니다. 결국 영화 제목 <플란다스의 개>는 의역하자면, <만화 플란다스의 개처럼 숭고함과는 거리가 먼, 에라이! 졸렬한 인간들이여~> 정고로 의역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플란다스의 개>, 2000


-사실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는 그 시작부터 강렬합니다. 기본적으로 영화에서 첫 이미지, 또는 첫 대사는 대단히 중요하고 때로는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대부>의 첫 대사는 그 유명한 “나는 미국을 믿습니다”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플란다스의 개>의 첫 사운드는 “개 소리”입니다. 네. 이 영화는 개 짖는 소리로 시작합니다. 한마디로 개소리로 영화가 시작합니다..ㅠ.ㅠ.

게다가 이 강아지의 이름은 고약하게도 “순자”입니다.

아파트 수위, <플란다스의 개>


더불어 변희봉 선생님이 연기한 이 영화 속 수위는 그 묘사 방식이 너무나 앞서가 당시 영화를 볼 때는 알아채지도 못했는데, 시간이 지나 우연이 이 영화를 다시 보고 두 눈을 의심했습니다. 영화 속 수위 캐릭터가 등장하는 장면을 자세히 보시면 그가 개들을 잡아먹기 위해 준비를 하는 장면이 나오고, 이후 다음 컷에서는 러닝 머신 위를 달리며 체력 단련을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연쇄 강아지 살인마,

 

그 위로 파리, 로마, 뉴욕, 런던 등 세계 각국의 시계들이 보입니다. 한마디로 그는 아파트 수위이자 동시에 연쇄 “개 살인마”이자 동시에 국제 정세에도 늘 안테나를 켜두고 사는 깨어있는 세력..인 것입니다. (이렇게 어둡고 기발한 코미디적 요소로 캐릭터를 묘사한 작품이 무려 이십 년 전에 나왔다고 하니 실로 놀라울 따름입니다.)

배두나, <플란다스의 개>, 2000


-이 작품을 얘기하면서 배두나 배우를 빼고 얘기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녀는 영화 속에서 젊은 세대를 대변하는 인물로 등장합니다. 신문 가판대 앞에 서있는 그녀의 뒤로 대략적인 그녀의 캐릭터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녀는 다소 엉뚱하고, 공명심에 사로잡힌 채 한탕주의에 물들어 있으며, 무료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오늘의 “젊은이”입니다. 

<플란다스의 개>, 2000


아마 <플란다스의 개>를 다시 보시면 당시 이십 대 초반 배두나 배우 특유의 귀엽고도 엉뚱한 표정들을 작품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이것만으로도 영화는 다시 보실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노숙자, <플란다스의 개>, 2000


그리고 이와 더불어 (계속 반복되는 말이지만), 이 장면이 정녕 이십 년 전 한국 영화 속 장면인가 보는 제 눈을 의심하게 만드는 장면이 또 있는데요, 바로 노숙자(김뢰하)의 추격을 피해 도주하는 배두나 배우 뒤로 그녀를 응원하는 노란 응원맨들의 모습입니다. 이걸 판타지라 불러야 할지 SF적이라 불러야할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영화를 보시면 도주하는 배두나 배우 뒤로 젊은이들의 함성과 휘날리는 색종이 뒤로 노란 후드를 눌러 쓴 한 무리의 “응원하는 사람들”이 보입니다. 

응원하는 사람들, <플란다스의 개> 판타지 설정,


또한 영화 <플란다스의 개> 속에서는 다양한 색감을 통해 봉준호 감독이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가장 명징하게 사용된 색은 녹색입니다. <플란다스의 개> 영화 속 녹색은 “순수”를 상징합니다. 영화 초반 이성재 배우가 선배와 통화하고 있는 뒤로 푸른 녹음이 펼쳐진 장면이 보이고, 이후 영화 후반 한때 순수했던 그마저 더러운 뇌물을 주고 교수가 된 이후 그는 이제 녹색에서 (순수에서) 멀어져 어둠에 갇히는 장면이 등장합니다.

<플란다스의 개>, 2000

 

어둠에 갇히는 대학 교수, 윤주


그리고 영화 <플란다스의 개>의 엔딩은 오늘을 살아가는 젊은이로 표상되는 배두나, 고수희 배우가 산 위로 올라가는 장면으로 마무리 되는데, 산에 오르다가 이 두 캐릭터가 멈춰서 관객을 향해 거울을 반짝이는 장면이 보입니다. 아마 이 장면은 아직 순수를 간직한 우리 젊은이들은 이처럼 오늘도 (순수를 찾아) 산을 오릅니다.. 하지만 이 영화를 보시는 여러분들은 오늘 어떻게 살아가고들 계십니까..라고 묻는 장면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엔딩 크레딧, <플란다스의 개>


오늘은 봉준호 감독의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와 관련해 몇 가지 재미있었던 기억을 되짚어 봤는데요 한 가지 빼먹은 게 있습니다. 네. 바로 임상수 감독님의 카메오 출연이십니다. 영화 속에서 “준표 선배”로 등장하는 임상수 감독의 연기는 단언컨대 거의 최고 수준의 카메오 연기라 할 수 있습니다. 그 특유의 이죽거림과 더불어 후배에게 뭔가 도움이 될 만한 조언을 해주는 준표 선배는 그 존재만으로 하나의 잊지 못할 캐릭터임이 분명합니다.

준표 선배, <플란다스의 개>


어느덧 봉준호 감독님이 이 작품을 만드신지도 이십 년이 훌쩍 지났네요. 하지만 이 작품은 개봉 당시 많이 알려지지 않은 덕분에 지금봐도 전혀 촌스러움이 없습니다. 한마디로 나이를 근사하게 먹은 오래됐지만 여전히 “신선한” 작품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 속 너무도 유명한 케이크 상자에 걸린 딸기 이미지로 이번 칼럼을 마무리할까 합니다..

 

케이크 상자 끝에 걸린 딸기, <플란다스의 개>